반응형

우울증은 마음이 언짢은 상태가 특징인 질환으로, 일시적으로 슬프고 우울한 기분이 드는 상태와는 다르다. 우울증이 있으면 우울한 기분이 들고, 괜히 슬퍼지거나 불안해지며, 무슨 일을 해도 재미가 없다. 자다가 자주 깨고, 식욕이 떨어지며, 평소보다 말수가 줄어든다. 대한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의 자료에 따르면 평생 우울증에 걸릴 확률은 남성이 5~12%, 여성이 10~25%라고 한다. 10명 중 1명 정도는 죽을 때까지 적어도 한 번은 우울증에 걸릴 수 있다는 말이다. 여성은 생리, 임신, 출산, 폐경 등 호르몬의 급작스러운 변화를 자주 경험하므로 우울증에 더 잘 걸린다고 보고된다. 또 가족이나 친척 중 우울증을 앓았던 사람이 있으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약간 높다고 한다.

원인과 심리적,환경적 요인

우울증은 심리적·환경적 요인과 떼려야 뗄 수 없다. 이에 식사, 수면, 운동 등과 관련해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다른 이와 어울릴 수 있는 취미 활동을 하며, 고민이 있으면 주위 사람에게 털어놓는 등 우울증을 예방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우울증 관련 증상이 나타났을 때 일상적인 방법으로 나아지지 않고 2주일 이상 증상이 계속되면 전문가에게 상담받기를 권한다. 병원에서 우울증으로 진단받으면 약물치료, 정신치료, 인지치료, 행동치료, 전기충격요법 등을 시행한다. 약물치료의 경우 세로토닌 선택적 재흡수 차단제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카페인과 알코올 주의

우울증 치료와 예방에는 규칙적 운동이 효과적이다. 운동하면 체온이 높아지면서 몸의 긴장이 해소돼 우울증 완화에 이롭다. 또 운동할 때 뇌에서 기분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엔도르핀이 분비돼 우울증을 덜 느끼게 한다. , 커피 등 고용량 카페인을 삼가는 것도 중요하다. 알코올은 우울증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상태를 악화한다고 알려졌다. 커피 등 고용량 카페인도 신체와 신경계를 예민하게 만들 수 있다. 신체적·정신적으로 자신을 더 행복하게 만드는 취미 생활을 하면 좋다.